안녕하세요. 뤼이드 튜터 입니다! 공인 어학 시험인 토익 시험에서 문법은 7개의 파트 중 파트5와 6에 걸쳐 출제됩니다. 파트5는 문장 빈칸 채우기 문제, 파트6은 장문 빈칸 채우기 문제가 나오는데, 직접적으로 문법 개념을 물어보는 것은 아니지만 문법을 어느 정도 알아야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고를 수 있죠. 그래서 토익 시험을 위해 공부 중이라면 영어 문법 공부는 필수입니다!
토익기초문법 –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
명사에는 크게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가 있어요. 셀 수 있는 명사를 ‘가산 명사 (countable noun)’라고 부르고, 셀 수 없는 명사를 ‘불가산 명사 (uncountable noun)’라고 부르죠.
먼저, 가산 명사는 혼자 쓰일 수 없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dog (개)’는 문장에 올 때 “I like dog.”와 같은 형태로 올 수 없어요. Dog를 단수로 쓸 경우에는 앞에 a, the와 같은 관사가 와야 하고, 관사 없이 단독으로 쓰고 싶다면 복수 형태로 사용해야 합니다. “I like a dog.”, “I like dogs.”와 같은 형태로 말이죠.
반면 불가산 명사는 앞서 말했듯이 셀 수 없는 명사임으로,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없습니다. 그래서 앞에 a가 올 수 없고, 뒤에 -s가 붙을 수도 없죠. “We need an equipment.”나 “We need equipments.”의 형태로는 사용할 수 없고, “We need equipment.”라고 해야 해요.
그런데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를 반드시 구별할 필요는 없습니다. 많은 명사가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 둘 다 쓰이기도 하니까요. 토익 시험에서는 기본적으로 가산 명사라고 생각하고 접근하고, 자주 출제되는 불가산 명사를 일부 외우고 있으면 됩니다. 토익에 자주 출제되는 불가산 명사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어요.
equipment | 장비 |
information | 정보 |
토익기초문법 – 대명사
다음으로는 토익기초문법 대명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대명사란 명사를 대신하는 말로, 앞서 언급한 명사의 반복을 피하고 싶을 때 사용해요. 그래서 글을 읽을 때, 대명사가 어떤 명사를 가리키는지 따라가며 읽어야 글을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대명사의 종류는 아래와 같아요.
인칭대명사는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주격, 목적격, 소유격이 있습니다. 토익 시험 파트5에 가장 자주 출제되어요. 주격 인칭대명사는 주어 자리에 쓰이는 인칭대명사로, I (나는), you (너는), he (그는), she (그녀는), it (그것은), they (그들은, 그것들은) 가 있어요. 목적격 인칭대명사는 목적어 자리에 쓰이고, my (나의), your (너의), his (그의), her (그녀의), its (그것의), their (그들의, 그것들의) 이 있습니다.
소유격 인칭대명사는 인칭대명사 중에서도 토익 시험에 가장 많이 나오는데요. 뒤에 반드시 명사가 와야 하고, 그 명사의 소유 관계를 보여줍니다. 예컨대, “This is my book. (이것은 나의 책이다.)”라는 문장에서 ‘my (나의)’가 소유격 인칭대명사인데, 뒤이어 나오는 명사 ‘book (책)’이 나의 소유라는 걸 보여줘요. 그런데 소유격 인칭대명사가 소유 관계를 보여준다고 해서 뒤에 꼭 사물 명사만 올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Mr. Jones is her supervisor. (존스 씨는 그녀의 상사이다.)”와 같은 표현도 가능하죠.
다음으로는 지시대명사를 알아볼게요. 지시대명사란 대상을 가리킬 때 쓰이는 대명사를 말해요.
영어의 지시대명사에는 this (이것) / these (이것들) / that (저것) / those (저것들) 가 있습니다. 지시대명사는 아래의 문장들처럼 시간상/거리상으로 멀거나 가까운 것을 가리킬 때 주로 쓰여요.
We already talked about this. 우리는 이미 이것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Those are major sources of stress. 저것들이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이다.
that 과 those 는 한 문장 안에서 두 대상을 비교할 때, 같은 명사가 반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쓰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Our company’s benefits package is the same as that of yours. (우리 회사의 복리후생은 당신 회사의 그것과 같다.)”라는 문장에서 that 은 benefits package 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대신 사용되었어요.
토익에서의 포인트는 those에 ‘사람들’이라는 의미가 있다는 것이에요. “Those who are interested in the position should call Mr. Kim. (그 직책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김 씨에게 연락해야만 한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죠.
마지막으로 부정대명사는 정해지지 않은 대상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부정대명사에 따라 가산 명사 복수형과 함께 쓰일 수 있는 것(one, each, both, several, few, a few, many 등), 불가산 명사와 쓰일 수 있는 것(little, a little, much 등), 그리고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 모두와 쓰일 수 있는 것(some, any, most, all, none 등)이 있어요.
예문을 통해 살펴보면, 가산 명사 복수형과 함께 쓸 수 있는 each 는 “The interviewees should answer each of the questions. (면접자들은 각 질문에 대답해야 한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어요.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 모두와 함께 쓰일 수 있는 some 은 “Some of the information in the guidebook is incorrect. (그 가이드북에 있는 정보 일부는 부정확하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산 명사, 불가산 명사, 대명사 토익 실전 문제에 적용하기!
그럼 이번에는 지금까지 배운 토익기초문법 가산 명사, 불가산 명사, 그리고 대명사의 개념을 토익 실전 문제에 적용하며 복습해볼게요.
첫 번째 문제입니다.
Question 1.
The company announced new ——- for working at the new factory.
(A) rule
(B) rules
(C) ruled
(D) ruler
잘 풀어보셨나요?
풀어보셨다면 이제 정답을 확인해볼게요.
이 문제의 정답은 (B) rule입니다.
빈칸은 동사 announced의 목적어 자리이자 앞의 형용사 new의 수식을 받는 명사 자리에요. 그러니 보기 중 동사인 (C) rulled 는 제일 먼저 소거해야 합니다. 남은 (A), (B), (D)에서 rule과 ruler는 둘 다 가산 명사입니다. 앞서 가산 명사는 단독으로 쓰일 수 없고 앞에 a나 뒤에 복수형태 -s가 와야 한다고 배웠죠? 따라서 복수 형태로 쓰인 (B) rules 가 정답입니다.
한 문제 더 같이 풀어볼까요?
Question 2.
The residents living on the upper floors have much better views than ——- on the first floor.
(A) some
(B) them
(C) this
(D) those
다 풀었다면 이제 정답을 확인해볼게요.
정답은 (D) those 에요. 이 문제는 빈칸에 알맞은 대명사를 선택하는 문제입니다. than을 중심으로 높은 층에 거주하는 주민들(residents)과 1층에 사는 주민들을 비교하는 구조이므로, 빈칸에는 복수 명사 residents의 반복 사용을 피하게 해 줄 복수 형태의 대명사가 와야 합니다. 앞서 those에 ‘사람들’이라는 의미가 있다고 배웠죠? 따라서 정답은 (D)입니다.
어떠셨나요? 실전 토익 문제에 적용까지 해보았으니 가산 명사, 불가산 명사, 대명사의 개념이 기억에 더 오래 남아 있을 거예요. 토익기초문법을 한 개념, 한 개념씩 차근차근 공부해서 목표하는 토익 점수를 받으실 수 있도록 뤼이드 튜터가 응원할게요!
뤼이드 튜터 (Riiid TUTOR)는 AI 기술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토익 점수 상승을 돕는 효율적인 토익 솔루션입니다.
토익 최신 기출 경향을 반영한 문제부터 토익 무료 인강, 나에게 딱 맞는 토익 공부법까지 뤼이드 튜터 (Riiid TUTOR) 앱에서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